대용량 외장하드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점점 흔해지고 있는 요즘…

외장하드를 컴퓨터의 데이터 저장/백업 용으로 사용하는 분들도 많지만

네비게이션이나 PMP 등의 휴대용 기기에 외장하드를 사용해서 용량을 확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이런 경우 대부분 FAT32 형식만 지원한다는 거죠.

Windows XP에서 기본으로 제공되는 포맷을 사용할 경우

아예 FAT32는 선택할 수 있도록 나오지도 않습니다.

CMD로 포맷할 경우에도 대용량 하드디스크는 볼륨이 너무 크다면서 포맷이 잘 되지 않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틸리티를 소개해드립니다.




FAT32 Format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제작자의 설명상으로는 2TB까지 FAT32 형식으로 포맷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사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Start를 누르고 잠시만 기다리면 됩니다.

몇날 며칠 고생하신분들은 허무하겠지만 정말 순식간에 간단하게 끝납니다.


FAT32포맷유틸



GUI 보다 커맨드라인 사용을 즐기시는 분은 아래의 파일을 다운받아서 사용하세요.
옵션들은 fat32format.exe를 실행시켜보면 자세히 나타납니다.



-------------------------------------------------------------------------------------------------------------------------

* 테스트 외장하드 : Seagate Freeagent Go 2.0 320GB
* 320GB 전체를 데이터로 다 채워서 인식 여부 확인
* 정확한 수치는 측정하지 않았으나 체감상으로는 NTFS가 FAT32보다 속도가 빠른 것으로 느껴졌음.

* 출처 : http://www.ridgecrop.demon.co.uk/guiformat.htm

-------------------------------------------------------------------------------------------------------------------------

2009/08/31 18:22 2009/08/31 18:22
해빠 이 작성.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 Comment RSS : http://www.haeppa.kr/rss/comment/21
  2. Comment ATOM : http://www.haeppa.kr/atom/comment/21
  3. 지나가는행인 2009/09/13 13:32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좋은 정보 감사해요:D

  4. 감사해요 2010/05/31 09:15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이렇게 간단하다니 !!!!!!!!!!!!

[로그인][오픈아이디란?]

Gmail을 Outlook 등의 메일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할 때 필요한 설정 내용들입니다. 
아래 내용은 Windows Mail 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지만 OUtlook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설정이 가능합니다.

Gmail의 경우 POP서버를 사용하려면 먼저 웹메일의 환경설정에서 활성화를 해야 합니다.
활성화 방법은 게시물 아래의 트랙백을 참고해주세요

메일 클라이언트를 처음 실행할 경우 자동으로 계정을 추가하는 마법사가 나오게 됩니다.
만약 나타나지 않을 경우 도구메뉴의 계정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 계정 유형 선택에서 전자 메일 계정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 사용자 이름에서는 보낸 사람 항목에 표시될 이름을 입력합니다. (실명이나 닉네임)


▶ 인터넷 전자 메일 주소에서는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할 주소를 입력합니다. (회신에 사용될 메일 주소)


▶ 전자 메일 서버 설정 에서는 Gmail에서 제공하는 POP, SMTP 서버 주소를 입력합니다.
    받는 메일 서버 : pop.gmail.com  |  보내는 메일 서버 : smtp.gmail.com
    보내는 서버에서 인증 필요에 체크해주세요.

 


▶ 인터넷 메일 로그온에서는 Gmail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 계정추가 완료 화면입니다.  ‘지금은 전자 메일을 다운로드하지 않음’을 선택하고 마침을 클릭하세요
    (Gmail은 별도의 포트와 인증 설정이 필요해서 현재상태로는 바로 메일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 계정 추가 과정을 모두 마치고 메일을 확인할 때 아래와 같이 POP3 서버가 응답이 없다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면 중지를 눌러서 창을 닫습니다.


▶ 위 과정을 마치고 계정 목록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면 pop.gmail.com을 선택해서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 일반 페이지 탭에서는 아래의 3가지 항목을 설정합니다.


1) 메일 계정의 pop.gmail.com 이라고 나오는 부분은 메일계정 목록에 표시될 이름입니다. 여러 계정을 사용할 경우 이메일 주소를 이름으로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2) 사용자 정보의 이름이라고 나오는 부분은 메일을 주고 받을 때 표시되는 이름이므로 자신의 실명이나 닉네임을 사용하세요.
3) 메일을 보낼 때 보낸사람메일주소에 표시되는 부분입니다.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적어야 회신이 가능합니다.

 


▶ 서버 페이지 탭에서는 아래의 4가지 항목을 확인합니다.

이미 계정추가 마법사에서 입력한 내용이므로 정확히 입력했는지 확인하고 넘어갑니다.
1) 받는 메일과 보내는 메일은 아래와 같이 입력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받는 메일 : pop.gmail.com  |  보내는 메일 : smtp.gmail.com
2) 전자메일 사용자 이름과 암호에는 자신의 Gmail 아이디와 비밀번호가 맞는지 확인합니다.

 


▶ 고급 페이지 탭에서는 아래의 4가지 항목을 설정합니다.

1) 서버 포트 번호의 보내는 메일에는 465 또는 587을 입력합니다. (outlook은 465 또는 25)
2) 서버 포트 번호의 받는 메일에는 995를 입력합니다.
3) ‘보안 연결(SSL) 필요’ 옵션은 보내는 메일과 받는 메일 두 곳 모두 선택합니다.
4) 메일 클라이언트를 집이나 직장 등 여러 곳에서 사용할 때는 ‘서버에 편지 복사본 저장’ 항목에 선택을 해놓으면 POP서버에서 메일이 삭제되지 않아 다른 곳에서도 같은 메일을 다시 받아볼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http://mail.google.com/support/bin/answer.py?answer=13287
http://mail.google.com/support/bin/answer.py?answer=75292
를 참고해서 2009년 5월 5일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2009/05/05 19:55 2009/05/05 19:55
해빠 이 작성.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1. Comment RSS : http://www.haeppa.kr/rss/comment/6
  2. Comment ATOM : http://www.haeppa.kr/atom/comment/6
  3. 이명식 2009/12/21 08:21  편집/삭제  댓글 작성  댓글 주소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로그인][오픈아이디란?]

Gmail은 무료로 POP/SMTP/IMAP 서버를 지원하는 몇 안 되는 웹메일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메일의 환경설정에서 활성화를 시켜줘야 합니다.

일단 www.gmail.com에 방문해서 자신의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Gmail에 로그인이 되면 오른쪽 상단에 환경설정 메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환경설정에서 전달 및 POP/IMAP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메뉴들이 나타납니다.
여기에서 ‘이미 다운로드된 메일을 포함하여 모든 메일 에 POP를 활성화 하기’를 선택하고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변경사항 저장을 클릭하고 Gmail 편지함으로 이동이 되면 모든 설정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아래 트랙백를 참고해서 Gmail을 사용할 메일 클라이언트를 설정해주세요.


위 내용은 2009년 5월 5일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009/05/05 19:54 2009/05/05 19:54
해빠 이 작성.

당신의 의견을 작성해 주세요.

[로그인][오픈아이디란?]